반응형
사례 1.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또래관계 향상 프로그램
- 대상: 중학교 1~2학년 학생 10명
- 기간: 주 1회 / 총 8회기
- 목표: 또래 간 공감 능력 향상, 갈등해결력 증진
주요 활동:
- 1회기: 아이스브레이킹 & 집단 규칙 만들기
- 2~5회기: 감정카드 활용한 공감훈련, 역할극으로 갈등 상황 다루기
- 6~7회기: ‘나의 장점 찾기’ 활동으로 자존감 향상
- 8회기: 마무리 소감 나누기 & 수료식
결과:
참여 학생 대부분이 “친구들과 말할 때 기분이 덜 나빠졌다”,
“화날 때 바로 말 안 하고 생각하게 됐다”고 응답.
학교 내 사소한 다툼 발생률도 감소했다는 피드백이 교사로부터 접수됨.
사례 2. 청소년 우울감 완화를 위한 감정표현 집단상담
- 대상: 고등학생 6명 (경미한 우울 증세 있음)
- 기간: 주 2회 / 총 6회기
- 목표: 감정 인식과 표현을 통한 내면 회복
주요 활동:
- 감정 단어 퀴즈, 감정 온도계 만들기
- 미술활동(마음의 날씨 그리기), 저널링(내가 가장 힘들었던 날)
- 감정카드 인터뷰, 타인 감정 공감 게임
결과:
학생들이 “처음엔 말하기 껄끄러웠지만, 나중엔 털어놓을 수 있었다”
“같은 고민을 가진 친구가 있다는 게 위로가 됐다”고 함.
종결 회기 후에도 일부 학생은 자발적으로 또래 집단을 유지하며 SNS 소통을 이어감.
사례 3. 게임 중독 위험 청소년을 위한 자기조절 훈련 프로그램
- 대상: 스마트폰/게임 과의존 중학생 8명
- 기간: 주 1회 / 총 5회기
- 목표: 게임 사용 시간 점검 및 자기조절 능력 향상
주요 활동:
- 내 스마트폰 사용 시간 체크하기
- 스트레스 해소 대안 목록 만들기
- 자기조절 플래너 만들기 (하루 스케줄 작성)
- 게임 대신 할 수 있는 재미있는 활동 탐색
결과:
참여 학생 중 6명은 회기 동안 게임 시간이 주 평균 3시간 이상 감소했고,
2명은 부모와의 대화를 늘리는 데 성공.
게임 외 시간 활용법을 익히면서 학교생활 집중도가 향상되었다는 담임 교사 의견 접수.
집단상담이 청소년에게 중요한 이유
- “나만 그런 줄 알았는데…” → 정서적 공감
- “내 이야기를 들어주는 친구가 있다” → 소속감 형성
- “다른 사람의 대처법을 보고 배운다” → 사회적 기술 습득
- “부모나 선생님 말보다 친구와의 공유가 더 큰 위로” → 동기 유발 효과